생명은 참으로 복잡하고 오묘하다. 얼핏 당연해 보이는 생명 현상도 찬찬히 뜯어보면 어떻게 이런 걸작이 생겨날 수 있었는지 감탄이 절로 나온다. 세포 내부에서는 갖가지 분자들과 효소들, 세포소기관들이 서로 빈틈없이 협력하여 호흡이나 신호 전달 같은 화학 반응을 매끄럽게 진행한다. 돌고래의 유선형 몸매는 헤엄칠 때 물의 저항을 줄여 준다. 개미 군락은 수많은 식구들 간의 노동 분업을 통해 먹이를 구하고 자식을 공동으로 키운다. 이처럼 어떤 기능을 잘 수행하게끔 정교하게 조직화한 생물학적 특성들, 즉 적응adaptation은 너무나 대단하고 훌륭해서 때론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이들을 공들여 설계했을리라는 믿음을 불러일으키기까지 한다. 그렇다고 어떤 지적인 설계자가 복잡한 적응을 정말 설꼐해 냈다고 태연히 주장하는 창조주의creationism에 넘어가지는 말길 바란다.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지적하듯이, 이러한 창조주의는 온 세상의 복잡한 적응을 모두 만들어 낼 만큼 복잡한 설계자 자신은 또 어떻게 출현했는가를 아울러 설명해야 한다는 점에서 문제를 해결하기는커녕 훨씬 더 어렵게 만들 뿐이다. 마치 친구에게 무이자로 빌린 빚을 갚고자 살인적인 고리를 자랑하는 사채 대금을 끌어 대는 격이다. 그렇다면, 단순한 초기 상태에서 복잡하고 정교한 생물학적 적응이 자연적으로 생겨난 과정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복잡한 '설계'가 어떻게 출현할 수 있는가에 대한 대윈의 대답은 놀라울 정도로 간명하다. 서로 경쟁하는 유전자들 가운데 개체군 내에 가장 잘 전파되는 유전자가 계속 선택되어 마침내 복잡한 적응이 생겨난다는 것이다. (중략) 이렇게 유전되는 형질들 가운데 그 종의 생태적 환경에서 먹이를 잘 찾거나, 포식자를 잘 피하거나, 전염병에 잘 안 걸리게 하는 등 생존과 번식에 도움을 주는 형질이 점차 개체군 내에 널리 퍼지게 된다.

 

-『오래된 연장통』, 2010, 전중환, 사이언스

+ Recent posts